ROHM News Detail

SemiDrive와 로옴 공동 개발
~ 스마트 콕핏용 SoC 「X9SP」와 로옴 PMIC의 레퍼런스 디자인 ~

2025년 6월 25일

2025년 상하이 모터쇼
SemiDrive Technology 부스에서의 사진

2025년 상하이 모터쇼
SemiDrive Technology 부스에서의 사진
SemiDrive Technology의 창업자
Maggie Qiu씨 (오른쪽에서 3번째),
창업자 겸 CTO Matt Sun씨 (왼쪽에서 2번째)
ROHM Semiconductor (Shanghai) Co., Ltd.
대표이사 Shuichi Yonezawa (왼쪽에서 3번째)

로옴 주식회사 (본사 : 교토)는 스마트 콕핏용 SoC※1 개발의 리딩 컴퍼니인 SemiDrive Technology Ltd. (이하, SemiDrive)와 스마트 콕핏용 레퍼런스 디자인 「REF68003」을 공동으로 개발하였습니다. 본 레퍼런스 디자인은 SemiDrive의 스마트 콕핏용 SoC 「X9SP」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로옴의 PMIC※2를 탑재하였습니다. 본 레퍼런스 디자인은 2025년 상하이 모터쇼의 SemiDrive 부스에서도 전시되었습니다.
SemiDrive의 스마트 콕핏용 SoC 「X9 시리즈」는 미터 클러스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IVI), 콕핏 도메인 컨트롤러, 콕핏과 차체 일체형 시스템 등 엔트리 모델에서 플래그십 모델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Gasgoo 연구원의 최신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월~3월의 중국내 승용차 등록 대수 중 차량 가격이 10만위안 (약 2000만원) 이상인 모델에서 SemiDrive의 콕핏용 X9 시리즈의 탑재 대수가 현지 시장에서 선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상하이 자동차, 체리 자동차, 창안 자동차, 제일 자동차, 광저우 자동차, 베이징 자동차, 동풍 닛산, 동풍 혼다 등의 자동차 메이커가 전개하는 50개 이상의 중국 주력 모델 및 다수의 해외 모델에 탑재되고 있습니다.
SemiDrive와 로옴은 2019년부터 기술 교류를 개시하여, 스마트 콕핏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초점을 두고 협력 관계를 구축해 왔습니다. 2022년에는 자동차 분야에서의 첨단 기술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SemiDrive의 차량용 SoC 「X9H」, 「X9M」 및 「X9E」와 로옴의 PMIC 및 SerDes IC※3, LED 드라이버 IC 등을 조합한 스마트 콕핏용 레퍼런스 디자인을 공동으로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2025년 SemiDrive와 로옴은 차량용 SoC 「X9SP」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레퍼런스 디자인을 공동으로 개발하여 중급 및 상급용 콕핏 등에 제안하고 있습니다. 콕핏의 안전 레벨 ISO 26262 ASIL-B※4를 만족하는 로옴의 SoC용 PMIC 「BD96811F44-C」, 「BD96806Q04-C」, 「BD96806Q05-C」, 「BD96806Q06-C」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전력 효율의 향상에 기여합니다. 앞으로도 로옴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용 제품의 개발을 계속적으로 추진하여 자동차의 편리성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SemiDrive Technology Ltd. CTO Matt Sun
자동차의 스마트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차량용 전자부품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X9SP는 X9 시리즈의 고성능 콕핏 SoC의 중심이 되는 플래그십 제품으로, 스마트 콕핏 및 크로스 도메인 통합화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고성능과 고신뢰성을 구비한 제품으로 특히 주차 지원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콕핏 솔루션에 적합합니다. 이번에 개발한 레퍼런스 디자인에는 ADAS 및 콕핏용 반도체의 다양한 라인업을 제공하는 로옴의 PMIC를 X9SP와 조합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와 전력 효율을 향상시켰습니다. 앞으로도 로옴과의 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혁신적인 차량용 솔루션을 폭넓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로옴 주식회사 이사 상급 집행 임원 Tetsuo Tateishi
차량용 SoC의 리딩 컴퍼니인 SemiDrive와 새로운 레퍼런스 디자인을 공동으로 개발할 수 있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차세대 자동차를 중심으로 인포테인먼트 및 ADAS 기능의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는 「스마트 콕핏」의 채용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PMIC 등 차량용 아날로그 반도체의 역할은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로옴이 제공하는 SoC용 PMIC는 차세대 차량용 전원 구성에 플렉시블하게 대응함과 동시에 기능 안전성도 만족할 수 있는 전원 IC입니다. 앞으로도 SemiDrive와의 교류를 강화함으로써, 차세대 콕핏의 다기능화를 서포트할 수 있는 폭넓은 제품의 개발에 주력하여, 자동차의 한차원 높은 진화에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개발 배경>

최근 보급이 가속화되는 스마트 콕핏은 미터 클러스터 및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형 디스플레이의 채용도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차량용 SoC에 요구되는 처리 능력도 증가하여 주요 디바이스로서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PMIC 등의 전원 IC에는 전류 대응과 고효율 동작의 양립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로옴이 제공하는 SoC용 PMIC는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겸비한 제품으로, 내부 메모리 (OTP)에 의한 임의의 출력전압 설정 및 스퀀스 제어도 가능합니다. 최소한의 회로 변경으로 다양한 차종 및 모델용 전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자동차 메이커의 개발 공수 삭감에 기여합니다.

SemiDrive Technology Ltd.

SemiDrive는 다양한 분야에 대응하는 차량용 SoC의 리딩 컴퍼니입니다. 스마트 콕핏 및 스마트 차량 제어 분야에 대응하는 고성능 및 고신뢰성의 차량용 SoC의 제공에 주력하여 기존의 차량용 전자 및 전기 아키텍처에 대응하는 폭넓은 라인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현재 260개사 이상의 고객과 200건 이상의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SoC의 누적 출하수는 800만개 이상입니다. 또한, 상하이 자동차, 체리 자동차, 창안 자동차, 동풍 자동차, 제일 자동차, 리샹 자동차, 닛산, 혼다, 폭스바겐 등 중국내 90% 이상의 OEM과 더불어 일부 주요 해외 자동차 메이커와의 거래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SemiDrive의 Web 사이트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용어 설명>

※1 : SoC (System-on-a-Chip)
단일 반도체 패키지 내에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을 통합한 집적회로. 높은 처리 능력 및 전력 효율, 스페이스 삭감을 실현할 수 있어 자동차기기, 민생기기, 산업기기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2 : PMIC (파워 매니지먼트 IC)
여러 개의 전원 계통을 내포하여 전원 관리, 시퀀스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1chip에 탑재한 IC.
DC-DC 컨버터 IC 및 LDO, 디스크리트 부품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에 비해, 실장 면적이나 개발 공수 등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자동차기기, 민생기기를 불문하고 복수의 전원 계통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에서 일반적인 디바이스로서 사용되고 있다.
※3 : SerDes IC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목적으로, 통신 방식의 변환을 실행하기 위해 세트로 사용하는 2개의 IC를 총칭하는 용어. Serializer에서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 (Parallel 데이터를 Serial 데이터로 변환)하고, Deserializer는 전송된 데이터를 원래의 형태로 변환 (Serial 데이터를 Parallel 데이터로 변환)한다.
※4 : ISO 26262, ASIL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ISO 26262는 2011년 11월에 정식 발행된 자동차기기 전자 제어의 기능 안전에 관한 국제 규격. 자동차기기 전자 제어 시의 고장 리스크를 산출하고, 해당 리스크를 경감하는 기능을 미리 시스템에 탑재하는 「기능 안전」을 실현하기 위한 개발 프로세스를 표준화한 것. 차량의 구상에서 시스템, ECU,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디바이스 개발 및 생산 · 보수 · 폐기에 이르기까지 자동차의 개발 라이프사이클 전체가 대상이 된다.
ASIL은 ISO 26262에서 정의된 4단계의 리스크 분류로, 리스크 레벨이 높을수록 기능 안전에 대한 요구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