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소※, 오토모티브 LDO 레귤레이터 「BUxxJA2MNVX-C 시리즈」 개발
신뢰성이 높은 1mm×1mm 사이즈로 ADAS 등 첨단 안전 시스템의 진화에 기여
2016년 4월 18일
※2016년 4월 18일 현재 로옴 조사
<개요>
로옴 주식회사 (본사 : 교토)는 ADAS (첨단 운전 지원 시스템)의 센서 및 카메라, 레이더 등 신뢰성과 소형화가 요구되는 자동차의 안전 모듈용으로 세계 최소 사이즈의 오토모티브 LDO 레귤레이터*1 「BUxxJA2MNVX-C 시리즈」를 개발하였습니다.
「BUxxJA2MNVX-C 시리즈」는 로옴의 일관 생산 체제를 통해 축적해온 아날로그 설계 기술, 프로세스 제조 기술, 패키지 제조 기술을 모두 구사하여 오토모티브 IC로는 세계 최소 사이즈를 실현하였습니다.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오토모티브 전원 IC에서 1mm×1mm의 몰드 패키지를 실현하여, 시장 유통 제품 (이하, 기존품)의 1.5mm×1.5mm에 비해 실장 면적을 55% 삭감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소비전류와 응답 특성에서도 기존품의 50% (소비전류 35µA, 부하 변동 65mV)를 실현하여, 실장 면적과 성능에서 자동차기기의 안전용 모듈의 진화에 기여합니다. 또한, 기존에는 1.0µF이 필요한 발진 방지용 외장 콘덴서를 최소 0.22µF으로 소형화할 수 있어 실장 면적을 한층 더 삭감할 수 있습니다.
본 제품은 2016년 2월부터 샘플 (샘플 가격 200엔 / 개 : 세금 불포함) 출하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6년 8월부터 월 10만개의 생산 체제로 양산을 개시할 예정입니다. 생산 거점은 전공정 로옴 아폴로 주식회사 (후쿠오카), 후공정 ROHM Integrated Systems (Thailand) Co., Ltd. (태국)입니다.
로옴은 앞으로도 자동차기기용으로 고신뢰성 ㆍ 고성능을 추구한 전원 IC를 개발하여 사회의 에너지 절약과 안전에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배경>
최근 자동차의 사고 방지 대책 및 자동 운전화가 추진됨에 따라, 첨단 안전 시스템의 고기능화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센서 및 카메라 모듈의 탑재 부품수가 대폭 증가하는 한편, 자동차의 경량화와 디자인성 향상을 위해 모듈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원 IC에서 소형화와 고신뢰성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칩 및 패키지를 극소화하여 자동차와 같이 온도 및 노이즈가 까다로운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1.5mm×1.5mm 사이즈의 몰드 패키지가 한계였습니다.
로옴은 일관 생산을 통해 축적해온 설계 및 제조 기술을 최대한으로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자동차기기의 표준 규격인 AEC-Q100에도 대응하는 1mm×1mm 몰드 패키지의 세계 최소 사이즈 오토모티브 LDO 레귤레이터를 개발하였습니다.
<특징>
1. 세계 최소 1mm×1mm 오토모티브 LDO 레귤레이터
본 신제품은 로옴이 장기간에 걸쳐 축적해온 아날로그 설계 기술과 프로세스 제조 기술, 패키지 제조 기술을 구사하여 개발하였습니다. 요구 특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오토모티브 LDO 레귤레이터로는 세계 최소 사이즈인 1mm×1mm를 실현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품의 1.5mm×1.5mm에 비해 실장 면적을 55% 삭감할 수 있습니다. 오토모티브 대응 제품으로 높은 신뢰성 확보를 통해, AEC-Q100에도 대응하여 자동차 등 온도 및 노이즈 조건이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저소비전류와 응답 특성을 동시에 실현
IC의 극소화를 위해서는 회로 규모가 커지는 고저항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회로전류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전원 IC에 요구되는 저소비전류화와 응답 특성 향상 (출력전압의 저부하 변동)을 동시에 실현해야 합니다. 본 신제품은 기준전압 회로 및 증폭 회로 등에 독자적인 회로 기술을 구사하여, 기존품의 50%에 해당하는 저소비전류 35µA와 우수한 응답 특성 (부하 변동 65mV)을 동시에 실현하였습니다.
3. 최소 0.22µF의 외장 콘덴서에서도 안정 동작 실현
전원 IC에는 입력 변동 시의 출력전압 변동 대책 ㆍ 발진 대책으로서 외장 콘덴서가 필요합니다.
기존품이 1.0µF의 용량을 필요로 하는 반면, 신제품은 최소 0.22µF의 용량으로 안정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콘덴서를 소형화함으로써 실장 면적을 한층 더 삭감할 수 있습니다.
<라인업>
품명 |
입력전압 [V] |
출력전압 [V] |
출력전압 정밀도 [%] |
출력전류 [mA](Max.) |
회로전류 [µA](Typ.) |
온도 범위 [°C] |
패키지 (W×D×H) [mm] |
---|---|---|---|---|---|---|---|
BUxxJA2MNVX-C | 1.7~6.0 |
1.0/1.2/1.25/1.5/1.8/ 2.5/2.8/2.85/3.0/3.3 |
±2 | 200 | 35 | -40~125 |
SSON004R1010 (1.0×1.0×0.6) |
BUxxJA2VG-C |
SSOP5 (2.9×2.8×1.25) |
※출력전압에 따라 품명의 "xx"가 결정됩니다. (예 : 1.0V=BU10JA~, 1.25V=BU1CJA~, 2.85V=BU2JJA~ 등)
<어플리케이션 예>
◇ ADAS의 센서, 카메라, 레이더
◇ 드라이브 레코더
등 자동차에서 소형화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
<용어 설명>
- *1) LDO 레귤레이터 (Low Drop Out 레귤레이터 / 저포화 레귤레이터)
-
입력과 출력의 전압차가 낮아, 리니어 레귤레이터 (입출력 전압이 선형 동작함)라고 불리우는 전원 IC.
DC/DC 등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비해,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노이즈가 적다는 점이 특징.